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요약 API(Summary API)](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7d309e0104fedb57280b261e5677d919cb2a0e2d/staging/src/k8s.io/kubelet/pkg/apis/stats/v1alpha1/types.go)에 기록한다.
14
+
15
+
통계 요약 API에 대한 요청을
16
+
쿠버네티스 API 서버를 통해 프록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17
+
18
+
다음은 `minikube`라는 이름의 노드에 대한 요약 API 요청 예시이다.
19
+
20
+
```shell
21
+
kubectl get --raw "/api/v1/nodes/minikube/proxy/stats/summary"
[요약 API](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7d309e0104fedb57280b261e5677d919cb2a0e2d/staging/src/k8s.io/kubelet/pkg/apis/stats/v1alpha1/types.go)에 기록한다.
252
-
253
-
다음은 `minikube` 노드에 대한 요약 API 요청 예시이다.
254
-
255
-
```shell
256
-
kubectl get --raw "/api/v1/nodes/minikube/proxy/stats/summary"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content/ko/docs/tutorials/services/connect-applications-service.md
+17-14Lines changed: 17 additions & 14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4,8 +4,8 @@
4
4
# - lavalamp
5
5
# - thockin
6
6
title: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
7
-
content_type: concept
8
-
weight: 30
7
+
content_type: tutorial
8
+
weight: 20
9
9
---
10
10
11
11
@@ -17,9 +17,7 @@ weight: 30
17
17
18
18
쿠버네티스는 파드가 배치된 호스트와는 무관하게 다른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쿠버네티스는 모든 파드에게 자체 클러스터-프라이빗 IP 주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파드간에 명시적으로 링크를 만들거나 컨테이너 포트를 호스트 포트에 매핑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파드 내의 컨테이너는 모두 로컬호스트(localhost)에서 서로의 포트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의 모든 파드는 NAT 없이 서로를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 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킹 모델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제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로 ssh 접속하거나 `curl`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두 IP 주소에 질의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테이너는 노드의 포트 80을 사용하지 *않으며* , 트래픽을 파드로 라우팅하는 특별한 NAT 규칙도 없다는 것을 참고한다. 이것은 동일한 `containerPort`를 사용하여 동일한 노드에서 여러 nginx 파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서비스에 할당된 IP 주소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다른 파드나 노드에서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호스트 노드의 특정 포트를 배후(backing) 파드로 포워드하고 싶다면, 가능은 하지만 네트워킹 모델을 사용하면 그렇게 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
55
53
54
+
56
55
만약 궁금하다면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모델](/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networking/#쿠버네티스-네트워크-모델)을 자세히 읽어본다.
57
56
58
57
## 서비스 생성하기
59
58
60
-
평평하고 넓은 클러스터 전체의 주소 공간에서 nginx를 실행하는 파드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파드와 직접 대화할 수 있지만, 노드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파드가 함께 죽으면 디플로이먼트에서 다른 IP를 가진 새로운 파드를 생성한다. 이 문제를 서비스가 해결한다.
59
+
이제 우리에게는 플랫(flat)하고 클러스터 전역에 걸치는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고 있는 nginx 파드가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파드와 직접 대화할 수 있지만, 노드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파드가 함께 죽으면 디플로이먼트에서 다른 IP를 가진 새로운 파드를 생성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서비스이다.
61
60
62
61
쿠버네티스 서비스는 클러스터 어딘가에서 실행되는 논리적인 파드 집합을 정의하고 추상화함으로써 모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생성시 각 서비스에는 고유한 IP 주소(clusterIP라고도 한다)가 할당된다. 이 주소는 서비스의 수명과 연관되어 있으며,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에는 변경되지 않는다. 파드는 서비스와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서비스와의 통신은 서비스의 맴버 중 일부 파드에 자동적으로 로드-밸런싱 된다.
63
62
@@ -91,13 +90,17 @@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0 commit comments